고려시대의 음악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18 17:06
본문
Download : 고려시대의 음악사.hwp
② 헌선도 : 1167년 이전부터 고려 궁중에서 연주되었다. 한편, 예종 9년(1114)에 남송의 휘종이 안 직숭 편에 신악을 보냈는데, 그것은 철방향5, 석망향…(省略)





고려시대의 음악사
다. 곡파라는 춤은 느린 템포와 또 빠른 템포로 구성된 춤 으로「고려사」악지에 보인다.
③ 수연장·오양선 : 「고려사」악지와 조선 성종 때의「악학궤범」권 3에 상세히 기록되어있다
여러 가지 당악정재를 출 때에는 당악이 반주음악으로 쓰였으나, 그 반주음 악 중에서 보허자 한곡만이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
㈏ 송의 사악
석노교 곡파, 만년환, 태평년, 취태평, 수룡음, 금전락, 낙양춘 등「고려사」악 지 당악조에 43편의 곡이름과 가사가 기록되어 있다
⑶ 당악기
문종 30년 당시 창사를 포함한 당악 정재의 반주음악은 방향, 비파, 생, 당적, 중금, 필률, 장구, 박으로 연주되었다.
㈎ 교방악
답사행, 포구락, 구장기별기, 왕모대가무, 연화대, 헌선도, 수연장, 오양선 등
① 포구락 : 「고려사」악지에 그 춤의 절차에 관하여 기술되었고, 현재까지 전해 내려온다.
⑴ 당대(唐代)의 음악
고려시대에 당나라 음악이 들어오기는 제4대 광종 때 곡파(曲破)라는 대곡이 들어온 것이 처음이다. 교방악은 여 자들의 노래와 춤을 말하고, 사악은 노래와 관현악으로 연주하는 형식이다.고려의 당악은 당나라의 음악뿐 아니라 송나라에서 들어온 교방악과 사악까지를 첨가하여 형성되었으며, 당악 또는 좌방악이라는 말은 향악 또... , 고려시대의 음악사기타레포트 ,
순서
설명
고려의 당악은 당나라의 음악뿐 아니라 송나라에서 들어온 교방악과 사악까지를 첨가하여 형성되었으며, 당악 또는 좌방악이라는 말은 향악 또...
,기타,레포트
Download : 고려시대의 음악사.hwp( 37 )
레포트/기타
고려의 당악은 당나라의 음악뿐 아니라 송나라에서 들어온 교방악과 사악까지를 첨가하여 형성되었으며, 당악 또는 좌방악이라는 말은 향악 또는 우방악의 대칭 으로 사용되었다.
⑵ 송대의 음악
고려에 들어온 송나라 음악은 교방악과 사악 두 형식의 음악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