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민지 근대의 이중성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17 15:58
본문
Download :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.hwp
특정 시기(예컨대 근대)와 그 시기적 특성(特性)(예컨대 근대성)의 관계는 후자에 의해 전자가 규정되어지는 관계로 나타난다. 그리고 근대의 시기 또한 동일하지 않다. 하지만 하나의 시기적 특성(特性)이기도 한 근대성은 단일한 세계시간으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다. 즉 자신의 특성(特性)에 의해 주요하게 결정된 시기를 넘어서 존재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고 있다아 근대성의 출현에 의해 규정된 근대의 시기는 이전 시기의 특성(特性)과 현 시기의 특성(特性)이 중첩 내지 잔존하는 독특한 계열의 배치가 나타나기 때문일것이다 요컨대 근대와 근대성은 동시대적 맥락에서 서로 겹쳐 사용되지만, 근대의 전근대성, 탈근대의 근대성과 같이 비동시대적인 맥락으로 확장될 수 있다아 특히 한국의 경우 근대와 근대성은 서구중심의 근대담론과 헤게모니에서 주장되는 것처럼 동시대적 측면이 아니라 근대 속에 혼용된 근대성과 전근대성, 혹…(생략(省略))
순서
mo322 ,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인문사회레포트 ,
설명






,인문사회,레포트
레포트/인문사회
식민지 근대의 이중성
mo322
다. 즉 근대적 특질과 경향의 출현과 발전에 의해 그 시기는 근대라는 의미로 포섭되는 것이다. 이 문제가 중요한 까닭은 근대와 근대성의 concept(개념)적 혼용이 서구의 근대(화)와는 다른 조건에 놓여 있는 한국사회(더 넓게는 제3세계 주변부)의 근대(화)의 특수성을 간단하게 소실시키는 위험성의 조건을 마련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궁극적으로 일원화된 경험과 역싸적 발전주의의 맥락에서 근대(화)를 주장하는 서구 중심적 근대의 담론을 무매개적으로 강화시키는 맹점을 노출시킨다.
Download :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.hwp( 52 )
한국사회의 근대성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하다. 이 같은 이유는 근대라는 역싸적 시공간 속에 나타난 근대성과 근대화의 특징과 성격을 해석하고 규정하는 다양한 시각차가 존재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사회에 출현한 근대 담론을 둘러싸고 형성된 역싸적 또는 theory 적 논의의 지형은 매우 복잡하며 다층적인 차원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좀 더 근본적인 문제가 되는 것은 사실 이 다양한 해석과 논의 지형의 존재 그 자체가 아니라, 이 논의 지형 속에 내재한 `근대`와 `근대화` 또는 `근대성`에 대한 불명확한 구분과 concept(개념)의 혼돈된 사용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