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문화]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13 17:20본문
Download :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 -딜타이의 인문과학.hwp
I. 들머리
Ⅱ. 인문과학 개념(槪念)의 발생배경
Ⅲ. 文化(culture) 적 담론 또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
Ⅳ. 歷史(역사)인식에서 해석학적 정초로
Ⅴ. 마무리: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
1990년대 이후 독일에서는 전통적인 인문학의 과목들을 과감히 文化(culture) 학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뵈메 Hartmut B hme와 셰르페 Klaus R. Scherpe 같은 학자들은 학문이 文化(culture) 화의 과정에서 기술적 전술, 도구, 매체를 수단으로 한 기술의 소산물이 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딜타이가 주장한 바와 같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을 구분하는 방법은 이제 더 이상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. 그리고 학문의 내용 면에서도 예를 들어 歷史(역사)를 설명(explanation)할 때 언어적 해석이 동원되어야 하고 자연과학적 …(drop)
I. 들머리 , Ⅱ. 인문과학 개념의 발생배경, Ⅲ. 문화적 담론 또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, Ⅳ. 역사인식에서 해석학적 정초로, Ⅴ. 마무리: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 , FileSize : 51K , [문화]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인문사회레포트 , 인식 문화 담론
순서
레포트/인문사회
인식,문화,담론,인문사회,레포트
설명
I. 들머리 , Ⅱ. 인문과학 정의 의 발생배경, Ⅲ. 문화적 담론 또는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, Ⅳ. history인식에서 해석학적 정초로, Ⅴ. 마무리: 딜타이 인문과학의 학문적 좌표 , 다운로드 : 51K
Download :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 -딜타이의 인문과학.hwp( 38 )
[문화] 인식의 담론에서 문화의 담론으로






다. 기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시대의 학문은 이미 전통적인 학제가 그 효력을 상실할만한 상황이 되었다. 예를 들어 문예학이 문예학 자체만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일 뿐 아니라 그럴 필요도 없는 시기가 되었다.